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돋히다’? ‘돋치다’?

“나 어젯밤에 소름 돋치게 재밌는 스릴러 영화를 봤어.” “‘돋치다’가 아니라 ‘돋히다’라고 써야지.”   두 친구가 채팅 메시지를 주고받고 있다. 이 중 바르게 알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많은 이가 ‘돋치다’가 아니라 ‘돋히다’라고 써야 하는 것 아닌가 하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바른 표현은 ‘돋치다’이다.   ‘먹다’에 피동 접사 ‘-히-’를 붙여 ‘먹히다’, ‘잡다’에 ‘-히-’를 붙여 ‘잡히다’로 만드는 것처럼 ‘돋다’에 ‘-히-’를 붙여 ‘돋히다’로 써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돋다’는 피동형 표현을 만들 수 없는 자동사다.   피동이란 주체가 다른 힘에 의해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을 말한다. 즉, 무언가에 의해 그 동작을 하게 한다는 의미에 부합해야 피동 표현이 가능하다.   ‘소름’을 예로 들어 보자. 소름은 내 몸에 스스로 돋아나는 것이지 남에 의해 돋아나게 되는 게 아니다. 그러므로 ‘돋히다’와 같은 피동 표현을 쓰면 안 된다. 다시 말해 ‘돋히다’는 남에 의해 내가 돋음을 당하는 것이 되는데, ‘돋다’는 언제나 스스로의 작용에 의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동 표현으로는 쓸 수 없다.   ‘돋치다’는 ‘돋다’에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접사 ‘-치-’가 붙은 꼴이다. “날개가 돋다” “가시가 돋다” 등 ‘돋다’를 붙인 강조의 표현은 모두 “날개가 돋치다” “가시가 돋치다”처럼 써야 올바르다. 쉽게 말하면 ‘돋히다’는 무조건 ‘돋치다’로 고쳐 써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우리말 바루기 피동형 표현 피동 표현 피동 접사

2024-01-11

[우리말 바루기] 벌에 쐬였을 수 없는 이유

야외 활동을 할 때 주의해야 하는 것 중 하나가 벌이다. 여름철에는 특히 벌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이므로 벌에 쏘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지난 주말 산에 갔다가 벌에 쏘였다”거나 “벌에 쐬어 숨지는 사람도 있다” 등에서와 같이 벌이 침으로 사람의 살을 찔렀을 때 ‘쏘였다’ 또는 ‘쐬었다’는 형태의 표현을 쓴다. 둘 가운데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둘 다 바른 표현이다.   ‘쏘이다’는 ‘쏘다’에 피동형 표현을 만들어 주는 접사 ‘-이-’를 붙여 만든 피동사다. ‘쐬다’는 ‘쏘이다’를 줄여 쓴 말이다.   ‘쏘이다’를 과거형으로 활용할 땐 ‘쏘이+었+다’, 즉 ‘쏘이었다’가 되고 이것을 줄여 일반적으로 ‘쏘였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쓰는 데 별문제가 없다. ‘쐬다’가 문제다. ‘쐬다’를 과거형으로 활용하는 경우 ‘쐬었다’인지 ‘쐬였다’인지 헷갈리는 사람이 많다.   ‘쐬다’에 과거를 나타내는 어미 ‘-었-’을 붙이면 ‘쐬+었+다’가 된다. 따라서 ‘쐬었다’고 해야 한다. ‘쐬였다’는 ‘쐬+이+었+다’ 형태로 불필요하게 ‘-이’가 들어간 것이므로 바른 표현이 아니다.   ‘쏘이다’와 ‘쐬다’의 경우 ‘-어’를 붙여 활용할 때도 잘못 쓰기 쉽다. ‘쏘이다’에 ‘-어’를 붙일 땐 ‘쏘여(쏘이+어)’라고 대체로 바르게 표현한다. 그러나 ‘쐬다’에 ‘-어’를 붙여 활용할 때는 ‘쐬여’라고 잘못 쓰는 사람이 많다. ‘쐬+어’이므로 ‘쐬어’라고 해야 한다.우리말 바루기 피동형 표현 야외 활동

2023-09-13

[우리말 바루기] ‘돋치다’

“나 어젯밤에 소름 돋치게 재밌는 스릴러 영화를 봤어.” “‘돋치다’가 아니라 ‘돋히다’라고 써야지.”   두 친구가 채팅 메시지를 주고받고 있다. 이 중 바르게 알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많은 이가 ‘돋치다’가 아니라 ‘돋히다’라고 써야 하는 것 아닌가 하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바른 표현은 ‘돋치다’이다.   ‘먹다’에 피동 접사 ‘-히-’를 붙여 ‘먹히다’, ‘잡다’에 ‘-히-’를 붙여 ‘잡히다’로 만드는 것처럼 ‘돋다’에 ‘-히-’를 붙여 ‘돋히다’로 써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돋다’는 피동형 표현을 만들 수 없는 자동사다.   피동이란 주체가 다른 힘에 의해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을 말한다. 즉, 무언가에 의해 그 동작을 하게 한다는 의미에 부합해야 피동 표현이 가능하다.   ‘소름’을 예로 들어 보자. 소름은 내 몸에 스스로 돋아나는 것이지 남에 의해 돋아나게 되는 게 아니다. 그러므로 ‘돋히다’와 같은 피동 표현을 쓰면 안 된다. 다시 말해 ‘돋히다’는 남에 의해 내가 돋음을 당하는 것이 되는데, ‘돋다’는 언제나 스스로의 작용에 의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동 표현으로는 쓸 수 없다.   ‘돋치다’는 ‘돋다’에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접사 ‘-치-’가 붙은 꼴이다. 우리말 바루기 피동형 표현 피동 표현 피동 접사

2023-03-20

[우리말 바루기] ‘돋치다’

“나 어젯밤에 소름 돋치게 재밌는 스릴러 영화를 봤어.” “‘돋치다’가 아니라 ‘돋히다’라고 써야지.”   두 친구가 채팅 메시지를 주고받고 있다. 이 중 바르게 알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많은 이가 ‘돋치다’가 아니라 ‘돋히다’라고 써야 하는 것 아닌가 하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바른 표현은 ‘돋치다’이다.   ‘먹다’에 피동 접사 ‘-히-’를 붙여 ‘먹히다’, ‘잡다’에 ‘-히-’를 붙여 ‘잡히다’로 만드는 것처럼 ‘돋다’에 ‘-히-’를 붙여 ‘돋히다’로 써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돋다’는 피동형 표현을 만들 수 없는 자동사다.   피동이란 주체가 다른 힘에 의해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을 말한다. 즉, 무언가에 의해 그 동작을 하게 한다는 의미에 부합해야 피동 표현이 가능하다.   ‘소름’을 예로 들어 보자. 소름은 내 몸에 스스로 돋아나는 것이지 남에 의해 돋아나게 되는 게 아니다. 그러므로 ‘돋히다’와 같은 피동 표현을 쓰면 안 된다. 다시 말해 ‘돋히다’는 남에 의해 내가 돋음을 당하는 것이 되는데, ‘돋다’는 언제나 스스로의 작용에 의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동 표현으로는 쓸 수 없다.   ‘돋치다’는 ‘돋다’에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접사 ‘-치-’가 붙은 꼴이다. “날개가 돋다” “가시가 돋다” 등 ‘돋다’를 붙인 강조의 표현은 모두 “날개가 돋치다” “가시가 돋치다”처럼 써야 올바르다. 쉽게 말하면 ‘돋히다’는 무조건 ‘돋치다’로 고쳐 써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우리말 바루기 피동형 표현 피동 표현 피동 접사

2022-10-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